본문 바로가기
한의사가 알려주는 보험한약 이야기

[보험한약] 14. 호르몬 변화/스트레스로 인한 각종 증상엔, 여성의 성약 가미소요산

by 글쓰는 한의사 김동욱 2022. 9. 29.

안녕하세요. 글 쓰는 한의사입니다.

오늘은 소화기 마지막 처방이자

정신과/부인과의 성약인

가미소요산을 설명하겠습니다.

 

이 처방은 제가 중~장년의 여성부터

폐경 후 여성까지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처방인데요.

 

원래는 부인과에서

여성들이 폐경기 이후 호르몬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증상에 사용하는 처방인데,

 

현대에 들어서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짐에 따라

스트레스가 일상처럼 되다 보니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호르몬 변화로 인한 증상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늘어났어요.

 

읽어보시고, 본인이 해당한다고 생각하시면

가미소요산, 강력 추천 드립니다!! ㅎㅎ

 

경방 가미소요산

 

가미소요산은 경방신약 기준으로 산제와 연조제가 있습니다.

제 진료실에는 산제가 구비되어 있어요.

 

경방신약 카탈로그를 살펴볼까요?

출처: 경방신약 카탈로그

적응증과 상병명을 보시면,

주로 폐경기 및 폐경기 전후 장애에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또한 한창 가임기의 여성이

월경통, 희발월경, 불규칙한 월경을 호소할 때도

효과가 좋습니다.

그리고 심신 증상과 수면장애 등 정신과 영역에서도 폭 넓게 사용하고 있어요.

 

심신 증상이란, 정신적으로 문제가 생긴 것이

원인이 되어 마음뿐 아니라 몸에도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요.

 

최근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가임기 여성의 소화불량 등

가미소요산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죠. 


가미소요산의 구성에 대해 알아볼까요?

당귀, 작약, 백출, 복령, 시호, 치자, 목단피, 감초 각 1.25g, 박하 0.63g

시호와 박하는 發散風熱藥,

치자는 淸熱瀉火藥,

목단피는 淸熱凉血藥인데요.

시호, 치자, 목단피는 모두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차가운 성질로 열을 꺼트리면서 肝에 작용한다는 것입니다.

 

한방부인과에서는 여성을 치료할 때

肝, 心, 腎을 중요하게 여기는데요. 

특히, 肝은 정서 및 월경과 아주 관련이 깊습니다.

肝은 전신 순환의 출발점이자, 

전신의 血을 잘 저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정서적 자극에 취약해지면

肝이 먼저 탈 나게 되는데요.

그러면 순환이 잘되지 않고 막히게 되는데,

이것이 熱로 변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죠.

 

스트레스로 월경에 문제가 생기거나,

폐경 전후 호르몬 변화로 인해

정서적 자극에 취약해지면 

한의학은 肝을 치료합니다.

 

이때, 시호+치자+목단피 조합이 아주 효과가 좋죠.

肝의 鬱火를 효과적으로 내려주기 때문입니다.

꼭 가미소요산을 처방하지 않더라도,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직장인 여성 환자분에게

탕약을 처방할 때 정말 많이 사용하는 조합입니다.

 

 

당귀와 작약 補血藥입니다.

여성은 남성과 비교하여 항상 血이 모자라죠.

이 또한 肝과 관련이 깊습니다.

 肝의 血을 잘 저장하는 기능을 돕는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백출  補氣藥, 복령 利水滲濕藥입니다.

 肝은 항상 소화기와 깊은 연관을 가집니다.

스트레스성 위염은  肝이 탈 난 것이  脾胃로 전이된 결과인데요.

 

백출은 소화기에 낀 노폐물을 제거하여 간접적으로 보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복령은 맛이 달고 소화기를 보하는게 주 효능이 되고

濕, 즉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은 부가적 효능입니다.

 

 

즉, 가미소요산은 호르몬 변화로

정서적 자극에 취약해졌거나

스트레스를 과도하게 받는

직장인 여성에게 발생하는 모든 증상의

원인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최고의 명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지난 2021년 개발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갱년기 장애 및 폐경기 증후군]을 보면, 

가미소요산이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및

호르몬 대체요법과 비교하여

갱년기 장애 및 폐경기 증후군 치료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권고 등급은 B입니다.

 

지난 2021년 개발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불안장애]를 보면,

가미소요산이 우울증을 겸한 정서적 소견 및

자율신경 관련 신체 증상을 동반한

범불안장애 환자에게

증상 개선을 위해 고려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권고 등급은 B입니다. 

 

지난  2021년 개발된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기능성 소화불량]을 보면,

정서적 자극으로 발현되는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게

소요산 복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권고 등급은 A입니다.

 

 

②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

 가미소요산이 기능성 소화불량에 효과가 좋다는 중국의 연구입니다.

중국의 9개 지역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된

141명의 성인 남녀를 무작위로 나누어,

4주간 가미소요산 혹은 위약을 투약했습니다.

 

주요 결과지표로는 GIS, the total Gastrointestinal Symptom Score

점수 변화 비교였습니다.

 

그 결과, 가미소요산군은 치료 전 평균 GIS 점수가

9.3±3.1이었는데 치료 후에는 3.8±3.0으로 낮아졌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대조군은  9.5±3.4에서 5.3±4.4로 변화하였고요.

대조군 대비 가미소요산군 변화량은  –1.3점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였습니다.


 일본의 유키 세키구치 요코하마 모토마치 여성 클리닉 원장님의 칼럼을 가져왔습니다.

해당 증례들은 여성 클리닉 내 여성 내과 과장인 나가사키 나오미가 일본 동양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보고한 내용입니다. 

 

① 43세 여성, 의료 관계자. 경추증

6개월 전 경추증을 자각했고,
주소증으로 
두근거림, 어지러움, 불면, 냉증을 호소했습니다.

항불안제를 투여받으며
경과 관찰을 하고 있었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내원하였다고 하네요.


처음에는 복용 중인 항불안제를 지속하면서, 
쯔무라 제약의 당귀작약산을
7.5g/일 투여하였는데
효과는 없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월경 전 초조함, 두근거림,
가슴이 답답한 증상의 호전을 목표로 하여
쯔무라 가미소요산과 반하후박탕을
각각 7.5g/일 투여하였는데
3주째부터 증상이 완화되고, 항불안제를 감량하였습니다.

3개월 복용 후에는 증상이 많이 좋아져
가미소요산과 반하후박탕까지
감량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② 44세 여성, 파트타임 근무자. 오래된 공황장애

약 20년 전부터 공황장애를 앓고 있고,
1년 전부터는 고혈압이 심해져 
인근의 병원에서 통원 치료를 받고 있었습니다.
 
항불안제를 복용 중이며, 
고혈압 진단 후에는
목구멍이 막힌 느낌, 초조함, 소화기 불쾌감 등의
증상이 발생하였다고 하네요.
특히, 월경 전 신경과민이 심했습니다.

쯔무라 가미소요산과 반하후박탕을 각 7.5g/일
투여하였는데, 치료 4주 경과 후
목구멍이 막힌 느낌이 감소하고,
월경 전에 발생하는
모든 증상도 점차 감소하였으며,
혈압도 안정되었다고 합니다.

 

세키구치 원장은 가미소요산+반하후박탕 조합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덧붙였습니다

최근 폐경 전기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여성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는 45세~55세 여성이 호소하는 다양한 증상을 갱년기 장애라고 하는데,
폐경 전기는 35세~45세 여성이 갱년기 장애와 유사한 두근거림, 상열감, 피로감, 냉증, 우울감 등이 발생하는 병태이다.
이럴 땐 가벼운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것이 한 가지 해결 방법이다.

그런데 한방에도 강력한 무기가 있다. 가미소요산과 반하후박탕의 병용이다.
각각의 단독 처방으로도 상당한 효과가 있지만, 병용 시에는 가벼운 항우울제보다 훨씬 더 효과가 있다.
한창 일하는 장년기의 여성으로 이전에 비해 건강 상태가 좋지 않은데 
바빠서 자기 몸을 충분히 관리할 수 없는 사람들이 꼭 사용해주었으면 하는 처방이다.

가미소요산은 이처럼

가임기 여성의 월경 문제,

심신 증상에 좋은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조기 폐경과 폐경기 전후, 폐경기에

발생하는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합니다.

 

한·중·일  3개국 모두에서

아주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처방이죠.

증상만 맞는다면, 체질과 무관하게 사용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해당하는 증상을 가지고 계신다면,

GMP 인증을 받은 안전한 한약재로 만든 안전한 보험 한약,

가미소요산을 복용해보시면 어떨까요?

가까운 한의원에 내원하시어 처방받으시길 바랍니다.

댓글